안녕하세요. 오늘은 경남 가볼 만한 곳, 경상남도 여행지에 대해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2곳인 창녕 우포늪과 남해 독일 마을입니다.
창녕 우포늪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즉, 3개 면에 걸쳐있는 총면적 2.31㎢의 대한민국 최대의 내륙 습지. 우포늪 권역은 2011년 천연기념물 제524호 '창녕 우포늪 천연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 일원에 걸쳐 있는 우포늪(1.28㎢)과 이방면 안리 일원의 목포늪(0.53㎢), 대합면 주매리 일원의 사지포(0.36㎢), 이방면 옥천리 일원의 쪽지벌(0.14㎢)로 나뉜다. [1] 우포늪은 남한 최대의 자연호 수다.
형성시기는 암반 형성시기는 백악기 중기인 1억 4000만 년 전이지만 늪이 형성되는 것은 오래 잡아도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 시절 때 홍수가 나면 낙동강 물이 우포로 역류하고 평상시에도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이 일대는 물이 고여있는 늪이 됐다. [2][3]480여 종의 식물, 62종의 조류, 28종의 어류, 55종의 곤충류가 서식하고 있다. 때문에 람사르 협약에 의해 보호받는 대표적인 습지이며, 우리나라의 얼마 안 되는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 후보다.
각종 야생동물과 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곳이다.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활한 늪지에는 수많은 물풀들이 머리를 내밀고 있어서 생태박물관을 보는 것 같으며 호소성 배후습지인 우포늪은 우기나 홍수 때의 과다한 수분을 습지 토양 속에 저장하였다가 건기에 지속적으로 주변에 공급하여 지형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수문학적 가치를 지니는 자연환경 보전지역이며, 생태자원, 관광자원으로서도 탁월한 경제성을 지닌 지역으로 평가된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천연기념물로 이미 지정되었고, 광복 후 1962년 문화재 보호법이 제정되자 '창녕 백조 도래지'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1년 후인 1973년에 철새 감소를 이유로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되면서 우포늪 주변의 사몰포, 용호 등과 같은 습지들이 농지로 개간되기 시작했고,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 정부 간의 갈등도 본격화되었다.
원래부터 경남지역의 강변(낙동강, 남강)은 신생대 시기[4] 평원을 흐르던 자유 곡류였으나 신생대 중반 경상도 지방이 융기하고, 그 결과 차별 침식에 의해 우각호로 남으며 늪지로 형성된 지역이 많았다. 창녕군 창녕읍 근방의 우포늪, 함안군 군북면 유전 늪과 법수면 일대의 여러 늪지대 등 구릉지 사이에 거대한 늪지대가 끼어 있는 것이 보통인데 특히 유전 늪은 우포늪보다도 규모가 훨씬 큰 자연 습지대였다. 과학잡지 뉴턴 한국판 [5]이 1985년에 창간준비호를 내면서 제일 처음 특집기사로 실은 것이 바로 유전 늪의 습지식물이었을 정도. 인근의 가야장, 창녕장, 군북장 등에서는 이들 늪지에서 낚아 올린 팔뚝만 한 민물고기들이 장터를 가득 채울 정도였으나, 1980년대 낙동강 수계 정비사업과 농토 개간[6] 등으로 함안군 영역의 4개 습지는 죄다 메꿔지고 [7] 비교적 접근이 힘든 오지였던 우포늪만 살아남았다. 늪지이다 보니 무엇보다도 모기떼가 창궐했고 지역주민들의 교통편의나 치안 등에도 악영향이 있었기 때문. 위 문단의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간 갈등은 이것을 말한다.
남해고속도로 개통으로 이미 1980년대 말에 모두 개간되어버린 유전 늪과 달리 우포늪은 주변에 구마고속도로가 지나가긴 하지만 몇몇 지방도 외에는 의외로 사람이 접근하기도 쉽지 않은 오지였던 탓에 [8][9] 살아남았다. 결국 1997년 환경부 고시에 의해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998년에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하여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2011년에는 '창녕 우포늪 천연 보호구역'이란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524호로 재지정되었다.
우포늪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 후보에 포함되어있다. 한국에서 이토록 큰 내륙습지와 다양한 생물이 분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보존 상태도 나쁘지 않아서 신청하면 등재되는 것은 별 무리가 없지만... 과연 인근의 주민들이 어떻게 반응할지가 문제다. [10] 여담으로 창녕에는 가야시대 고분군 또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또한 세계문화유산 후보에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창녕 영산줄다리기는 이미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어있다. 따라서 만에 하나 이 두 장소가 모두 세계유산에 등재될 경우, 창녕은 일개 군인데도 세계유산을 무려 세 개나 보유한 엄청난(?) 관광지가 될 수도 있다. [11] 우포늪의 위기는 있긴 하다.
아래의 뉴트리아와 부근 주민들의 이기주의에 때문에 습지 부근에서 함부로 농경과 어로활동 탓에 파괴된다고 영어 위키 백과에서와 일부 국내외 블로그에도 말이 나오고 있긴 하다.
정부와 지자체가 이걸 방치하면 람사르 협약 위반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신경 쓰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교통상황을 말하자면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 IC 근방에 있어 자가용을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접근이 가능하다. [12] 하천은 우포늪에서 발원해 마을을 지나 낙동강으로 유출되는 토평천이 있다.
(출처 나무 위키)
네이버 지도
창녕군 유어면
map.naver.com
남해 독일마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와 봉화리에 위치한 마을이다. 2001년 파독 근로자와 그 가족들 중 한국 행을 희망하는 집단이 이 마을을 건설하였다.
당시 독일식 건축방식으로 건설했으며 건축 자재들을 독일에서 수입해서 만들었다. 이 마을에는 독일인+한국인 파독 근로자 비율이 높아서 독일어가 통용되고 지역 주민 상당수가 독일식 여관, 민박을 운영하고 있고 소시지, 햄 등 독일 요리를 만드는 식당이 많다. 그리고 파독 근로자 전시관과 파독 근로자 공동묘지가 있다.
독일 ZDF 제작, 조성형 감독이 파견 근로자와 독일인 남편의 한국 정착 과정을 촬영한 '그리움의 종착역'의 배경이 남해 독일마을이다.
드라마 환상의 커플 일부를 이곳에서 촬영했으며, 마을 내에 "환상의 커플" 펜션이 있다. 이 펜션과 펜션 인근에서 많은 부분이 촬영되었다. 극 중에서는 가정집으로 묘사되었으나, 종영 후 펜션으로 바뀌면서 건물 내외부가 리모델링되어 드라마에서 나온 모습과 약간 다르다.
1박 2일 시즌1 남해 편 방송분에서 김종민이 봄동 비빔밥 재료 획득을 위해 이곳 철수마을에서 짜장면을 먹는 미션을 수행했다.
레벨업 프로젝트 시즌2에서 Red Velvet 멤버들이 이곳을 방문했다.(출처 나무 위키)
네이버 지도
남해군 삼동면
map.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