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울산 가볼 만한 곳, 울산 여행지에 대해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2곳인 영남 알프스와 대왕암 공원입니다.
영남 알프스
대한민국 울산광역시[1]와 경상남도 밀양시[2], 양산시[3], 경상북도 청도군, 경주시 일대에 걸쳐 위치한 해발 1,000m가량의 산지에 붙은 별명.
이름은 유럽의 알프스에서 따온 것이다. 홈페이지에서는 '수려한 산세와 풍광을 자랑하며 유럽의 알프스와 견줄 만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런 별칭 작명은 일본의 미나미알프스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현재는 지자체에서 공식적으로 밀고 있으며 언론이나 책에서도 많이 소개되어서 등산을 즐기는 지역 주민이나 지역 관광업계 차원에선 꽤 유명해졌다.
비공식 지명이었지만 2015년,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 있던 '등억리'가 알프스를 붙여 등억알프스리라고 공식적으로 지명을 바꾸면서 더이상 비공식 지명이 아니게 되었다.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산맥에 서양 이름을 왜 붙이냐, 촌스럽다며 반대하는 의견이 많다. 2022년 현재 전국에서 유일하게 공식 행정구역명에 외국어가 포함된 사례다.
현재 영남알프스로 지정된 산은 총 9개인데 높이 순으로 정렬하면 가지산(해발 1,241m), 천황산(해발 1,189m), 운문산(해발 1,188m), 신불산(해발 1,159m), 재약산(해발 1,108m), 영축산(해발 1,081m), 간월산(해발 1,069m), 고헌산(해발 1,034m), 문복산(해발 1,014.7m)[5] 순이다. 가장 낮은 문복산도 해발 1,000m가 넘을 정도로 매우 고도가 높으며 산세도 굉장히 가파르고 험준한 산이므로 등산에 각별히 주의를 요하는 산이지만 풍경은 알프스란 이름답게 매우 아름답다.
(출처 나무위키)
네이버 지도
밀양시 산내면
map.naver.com
대왕암공원
울산광역시 동구 등대로 100 (일산동)[1]에 있는 공원.
이곳은 문무왕의 왕비(자의왕후)가 죽어서도 나라를 지키는 용이 되겠다하여 바위섬 아래에 묻혔다는 곳이다. 다만 경주의 문무대왕릉이 실제 장례가 치러졌던 장소라는 이런저런 증거가 남아있는 것과 달리 이 곳이 정말 신라 자의왕후의 무덤인지 확실한 증거는 없고, 일종의 설화다.
동해 바다와 마주한 바위들의 경치가 좋아 울산의 주요 관광지로 제법 유명하다. 부산 오륙도처럼 육지와 가까운 바다에 떨어진 섬인데, 다리로 연결되어 있어 산책로로 기능하고 있다.
울기등대와 대왕암, 용굴, 탕건암 등의 기암괴석, 수령 100년이 넘는 15,000그루의 아름드리 해송이 어우러져 울산을 상징하는 쉼터 구실을 하고 있다. 특히 용추암 또는 댕바위라고도 불리는 대왕암은 신라시대 문무왕의 왕비가 죽어서도 호국룡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 하여 바위섬 아래에 묻혔다는 전설이 있고 육지에 있는 바위와 철교로 연결된다. 진입로부터 펼쳐진 해송림과 고래 턱뼈 조형물로 유명하며, 바닷가에는 대왕암 외에도 남근바위·탕건바위·자살바위·처녀봉·용굴 등 기암들이 있다.
옛 선비들이 해금강이라 일컬을 정도로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목장으로 쓰였다. 넓이는 약 93만㎡이다. 1906년에 설치된 울기등대가 있어 1962년 5월 14일부터 울기공원이라고 불리다가, 2004년 2월 24일 대왕암공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출처 나무 위키)
네이버 지도
동구 일산동
map.naver.com
댓글